✅ ISA로 투자하면 뭐가 좋을까?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요즘 많은 분들이 관심 갖는 투자 계좌죠.
“세금도 수익률이다” 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ISA는 그 말에 딱 맞는 상품이에요. 왜 그런지 하나씩 알아볼게요!
🎁 1. 수익 일부가 ‘세금 면제’!
일반 계좌에서 ETF나 펀드로 수익이 나면, 보통 15.4%의 세금이 붙어요.
하지만 ISA 계좌를 이용하면, **최대 200만원(서민형은 400만원)**까지는 세금 없이 전부 내 수익이 됩니다!
예를 들어, 200만 원 벌었을 때 일반 계좌라면 세금 떼고 약 170만 원 받지만, ISA에선 고스란히 200만 원 전액 내 손에 들어오죠.
이 절세 효과를 매년 반복하고 재투자한다면? 복리 효과까지 더해져 수익은 점점 커집니다!
📌 2. 세금을 따로 계산한다! (분리과세)
연간 금융소득이 2천만 원 넘으면 근로소득과 합쳐서 세금 폭탄 맞을 수 있다는 거, 아시죠?
하지만 ISA는 다릅니다. 비과세 한도를 넘는 수익도 따로 분리과세돼서, 9.9% 낮은 세율만 적용됩니다.
이것도 꽤 큰 혜택이에요!
📥 3. 유연한 납입한도
ISA는 1년에 최대 2천만 원, 총 1억 원까지 넣을 수 있어요.
근데 어떤 해엔 여유 자금이 부족할 수도 있잖아요?
걱정 마세요!
못 채운 금액은 다음 해로 이월해서 넣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올해 1천만 원만 넣었으면 내년엔 3천만 원까지 넣을 수 있죠.
🔁 4. 수익/손실을 한 번에 정산 (손익통산 + 과세이연)
일반 계좌에선 수익 날 때마다 바로바로 세금을 떼가지만,
ISA는 계좌 해지할 때 한 번에 정산합니다.
그동안의 수익과 손실을 다 합쳐서 순수익에만 세금을 매겨요.
손실이 있으면 세금을 줄일 수 있는 거죠. 이게 바로 손익통산의 힘!
💸 5. 연금계좌로 넘기면 또 혜택!
ISA 만기자금을 연금계좌로 옮기면, 추가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어요.
이체한 금액의 **10% (최대 300만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다는 얘기예요.
연금계좌 자체의 세제 혜택 + ISA의 혜택 = 이중 혜택!
❗ 그럼 단점은 없을까?
물론 ISA도 아쉬운 점이 있어요. 몇 가지 짚어볼게요.
⏳ 1. 최소 3년 유지해야 함
ISA는 최소 3년 유지해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중간에 해지하면 그동안의 혜택을 못 받게 되니, 단기 투자자에겐 잘 안 맞아요.
📉 2. 납입 한도가 제한됨
연 2천만 원, 총 1억까지 넣을 수 있는데요,
자산이 많은 분들에겐 투자 금액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 3. 투자 가능한 상품에 제한
ISA는 유형에 따라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 달라요.
예를 들어, 중개형 ISA는 예금 불가, 신탁형 ISA는 국내 상장 주식 직접 투자가 안 돼요.
게다가 해외 주식 직접 투자도 불가한 건 많은 분들이 아쉬워하는 점이에요.
💬 결론: ISA, 활용할 가치 충분!
ISA는 단점도 있지만,
절세 효과, 연금 연계, 유연한 납입 방식 등 투자자에게 이득이 되는 부분이 훨씬 많아요.
특히 노후 준비나 장기 자산 증식을 고민 중이라면
ISA는 꼭 활용해볼 만한 똑똑한 선택지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