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연말정산 과세표준 구간 세율 변경되었습니다. 달라진 개정세법에 따라 2023년 소득부터는 바뀐 세율이 적용 됩니다.
과세표준은 무엇이고 산출세액은 무슨 말일까요? 어려운 연말정산 관련 용어, 이 글을 읽으면 쉬워지실 겁니다!
연말정산 과세표준이란?
근로소득금액에서 인적공제, 특별공제, 기타공제, 연금 보험료 등을 제외하고 종합한도 초과액을 합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과세표준 구간 세율 변경
2023년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이 개정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과세표준 5천만원이면 최대 24% 세율이었는데 이제 15%가 되었습니다. 과세표준이 5천만원 넘는 경우는 소득세가 약 54만원 정도 줄었습니다.
더 자세한 2024년 연말정산 개정세법과 변경사항은 아래 글을 확인하세요!
2024년 연말정산 환급금 금액이 알고싶은 분은 홈택스에서 연말정산 간소화부터 시작하세요.
과세표준 계산방법
1단계: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 = 근로소득금액
2단계: 근로소득금액 – 소득공제 = 연말정산 과세표준 적용 대상
3단계: 과세표준 적용 대상 X 세율 = 산출세액
4단계: 산출세액 – 세액공제 = 결정세액
소득공제
특정 항목의 지출 내역 일부를 총급여액에서 제외해주는 것입니다. 인적공제, 연금 보험료,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주택자금,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 사용액 공제 등이 있습니다.
세액공제
이미 산출된 세액에서 특정 항목을 차감해주는 개념으로 연금계좌와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월세, 자녀 세액공제 등이 있습니다.
정리하면, 총급여액에서 소득공제 금액을 차감한 금액이 연말정산 과세표준이며 여기에 세액공제를 차감한 결정세액을 두고 환급여부를 판단합니다.
과세표준 구간별 산출세액
산출세액=연말정산 과세표준 X 기본세율
<도움이 되는 글>